일상의 휴식과 몸맘케어/감성 경제 에세이

윤리 없는 효율 – 기술이 만든 차가운 결정들

몸맘케어 2025. 7. 25. 11:14
728x90

🌿 몸맘케어 감성기술사회 시리즈 제4화

윤리 없는 효율 – 기술이 만든 차가운 결정들

“가장 빠른 선택이 언제나 옳은 선택은 아니다.”

어느 병원의 응급실.
AI는 환자의 데이터, 병력, 리스크 지수를 빠르게 분석해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그리하여 한 노인의 수술은 ‘지연’되고,
젊은 환자가 먼저 수술실로 옮겨집니다.

의료진은 말합니다.
“효율적 판단입니다. 생존 가능성이 더 높으니까요.”

그러나,
‘가능성’ 뒤에 묻힌 삶의 무게
누가 계산했을까요?


⚖️ 기술의 판단에는 윤리가 없다

AI는 확률로 판단합니다.
데이터는 ‘이 사람’이 아닌, ‘이 조건’을 읽습니다.
그리고 효율성을 중심으로 결정을 내립니다.

하지만 윤리는 숫자가 아닌 이야기에서 태어납니다.
한 인간의 삶이 가지는 고유한 사연,
눈빛에 담긴 간절함,
그리고 관계의 끈은
계산되지 않습니다.


❄️ 차가운 결정의 온기 없는 결과

자율주행차가 사고를 피하려다 보행자를 칠 수도 있습니다.
AI가 면접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돌봄 경력을 가진 중년 여성을 탈락시킵니다.

이 모든 결정은
차가운 알고리즘의 결과물일 뿐입니다.
그러나 그 결정으로 인해
마음은 얼어붙고,
존엄은 무너집니다.


🔍 인간의 얼굴을 한 윤리가 필요하다

기술이 아무리 정교해져도
선택의 책임은 인간의 몫입니다.
우리는 ‘결정’만이 아니라,
그 결정이 어떤 감정을 남기는지까지
돌아볼 수 있어야 합니다.

윤리는 느립니다.
때론 망설이고, 고민하며, 시간을 흘려보냅니다.
하지만 그 느림 속에서
인간다움의 향기가 자라납니다.


🌱 감성 없는 기술은 완전하지 않다

기술은 효율을 추구합니다.
하지만 공존은 감정을 중심으로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진정 바라는 미래는
빠르고 정확한 판단을 넘어서
사려 깊은 따뜻함이 함께하는 기술사회입니다.


🔗 함께 나눠요

이 글은 《몸맘케어 감성기술사회 – 인간다움을 잃지 않는 기술부재》 시리즈 제4화입니다.
다음 회에서는 **“선택받지 못한 사람들 – 기술이 배제한 존재들”**을 다룹니다.

🟢 기술은 선택합니다.
그러나 사람은 품어야 합니다.

구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