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휴식과 몸맘케어/감성 치유 에세이

제4화. 가구 vs 가풍 – 추억과 짐의 경계에서

몸맘케어 2025. 6. 16. 10:34
728x90

제4화. 가구 vs 가풍 – 추억과 짐의 경계에서

“버릴 수 없다는 말 뒤에는 자존심과 역사가 있다.”


🔷 1. 낡은 가구가 말해주는 것

지금 당신의 집 어딘가에도 있을 겁니다.
묵직한 장롱, 유리문이 달린 책장, 손때 묻은 화장대…

그것은 단순한 가구가 아니라,
**가풍(家風)**이 깃든 유물처럼 여겨집니다.

  • “이건 아버지 퇴직기념으로 산 거야.”
  • “할머니가 시집올 때 가져오신 거라서…”
  • “우리 집은 원래 이런 분위기였어.”

하지만 정작 그 가구는 쓰이지 않고,
공간만 차지한 채, 빛바랜 기억으로 머물러 있죠.


🔷 2. 추억인가, 짐인가?

우리는 왜 이런 물건을 쉽게 버리지 못할까요?

▫ 감정의 정체 – 추억 보존 욕구

감정이 깃든 물건은 뇌에서 ‘물건’이 아니라 ‘사람’처럼 인식됨
✔ “이걸 버리면 부모님과의 추억까지 버리는 것 같아.”
✔ 심리학에서는 이를 **감정 대리기억(emotional surrogate)**이라고 부릅니다.

▫ 정체성의 지지대 – 나의 뿌리

✔ 고풍스러운 가구는 나의 ‘배경’과 ‘가치’를 드러냅니다.
✔ “우리 집안이 어떤 집안인데…”라는 말에는 자존감이 깃들어 있죠.


🔷 3. 감성 스토리 – 장롱을 버리지 못한 이유

70대 어머니와 함께 사는 민수 씨는 늘 고민이었습니다.
안방의 커다란 장롱. 무겁고, 닫히지도 않고, 방이 너무 좁았죠.
리모델링하려 했지만 어머니는 단호히 말합니다.

“이건 너희 아버지가… 마지막으로 산 거야.”

“너희 태어났을 때 옷이 다 저기 있었단다.”

그 장롱은 더 이상 ‘가구’가 아니었습니다.
가족의 시간, 말 못 한 눈물, 잊고 싶지 않은 손길이 남아 있었던 것이죠.


🔷 4. 가풍을 존중하면서도 비우는 법

✔ 1) 가구의 ‘가치’를 분리하자

  • 물건 자체의 기능 vs 그 안에 담긴 기억
  • ‘물건을 버린다’ ≠ ‘기억을 지운다’

👉 기억은 기록하고, 물건은 보내자

  • 장롱 위에 걸려 있던 레이스는 잘라서 ‘기념 수첩’에 붙이기
  • 오래된 서랍 손잡이는 액자나 북마크로 리폼

✔ 2) 부모님과 함께 ‘이야기 나누기’

  • 왜 이걸 간직하고 싶은지 들어본다
  • “이건 다시 살 수 없는 가구라서...”
  • “여기에는 네가 태어난 날 병원에서 준 팔찌도 들어 있었어.”

☑️ 진짜 버리지 못하는 건 물건이 아니라 감정과 기억임을 깨달을 때, 대화는 더 따뜻해집니다.

✔ 3) 대안 가구 제안하기

  • 리폼 가구: 기존 재료 활용해 크기 조정
  • 사진 보존: ‘추억의 가구 전시 사진’ 앨범 제작
  • 공방 위탁 제작: 낡은 가구 일부 활용해 미니 책상·의자 제작

🔷 5. 세대 간 충돌, 어떻게 풀까?

세대시각정리 접근법
부모세대 절약정신, 추억 집착 “아깝다”, “우리 가족이…”
자녀세대 실용성 중시, 공간 활용 “답답하다”, “요즘엔 이런 거 안 써요”
 

이 간극을 좁히는 열쇠는 **‘공감’과 ‘공유의 시간’**입니다.
✔ 하루 30분, 부모님과 가구를 하나씩 열어보며 이야기 나누기
✔ 이야기 끝에 “이건 남기자”, “이건 보내자” 판단을 함께 내리기

“어머니, 이건 정말 오래된 거니까 제가 책장으로 다시 만들어 드릴게요.”

“그럼 이건, 너희 결혼할 때 가져가렴.”

– 가족 간 정리의 정답은 대화 속에 있습니다.


🔷 6. 오늘의 실천 – 추억 가구 정리 시작하기

👉 가족에게 의미 있는 가구 한 점을 골라보세요.

  • 왜 이걸 간직하고 있었는지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그 기억을 ‘사진’이나 ‘기록’으로 남기고, 실제 사용 여부를 검토해 보세요.
  • 쓸 수 없다면 리폼, 기부, 보존 일부만 남기기로 방향을 정하세요.
  • “기억은 남기되, 공간은 숨 쉬게 하자.”
  • “가풍은 이어지고, 짐은 사라질 수 있다.”

구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