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세대와 정치적 무관심의 대가
청년 세대와 정치적 무관심의 대가
몸맘케어 감성 정치 에세이 시리즈
“정치? 난 관심 없어. 누가 되든 똑같아.”
“투표해도 세상이 바뀌는 건 아니잖아요.”
“현실이 너무 바빠요. 먹고 사는 게 먼저죠.”
이 말들은 어쩌면 합리적인 체념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이 무관심의 결과는 생각보다 냉정한 현실로 돌아옵니다.
정치는, 관심 없는 사람에게 더 가혹한 법이니까요.
청년은 외면하고, 정치도 청년을 외면한다
한국 사회에서 ‘청년’은 늘 정치의 변방에 머물러 왔습니다.
- 주요 정당의 공약에서 청년은 ‘홍보용 키워드’에 가깝고,
- 청년 정책은 대부분 단기적 처방이거나 보여주기 식이며,
- 정작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는 의사 결정 구조에 거의 반영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정치만의 책임일까요?
무관심과 불참은 정치적 영향력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청년은 왜 소외되는가”
그 물음에는 언제나
_“청년이 정치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_이라는 대답이 따라붙습니다.
바쁜 청춘의 무게 – 정치가 너무 멀게 느껴지는 이유
지금의 청년 세대는
- 불안정한 일자리,
- 고공행진하는 주거비,
- 교육비, 부채, 경쟁, 정신건강 문제까지
그 어떤 세대보다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오늘을 살기도 벅찬데, 미래를 생각할 여유가 어디 있냐”고 말할 만합니다.
하지만 바로 그 미래를 결정하는 것이 정치입니다.
- 취업 정책은 정치의 결정입니다.
- 임대료, 전세 사기, 주거 정책도 정치입니다.
- 병역, 등록금, 사회복지까지도 정치입니다.
정치를 외면해도, 정치가 청년을 가만히 두지 않는 이유입니다.
무관심은 힘이 아니다 – 침묵이 부른 세대 갈등
투표율을 보면 명확합니다.
- 60대 이상: 70% 이상
- 20~30대: 50% 안팎
이 격차는 정치인들의 관심을 어디로 쏠리게 만들까요?
바로 투표를 하는 세대, 기성세대입니다.
결국 정치의 우선순위는
- 청년의 미래가 아니라
- 기성세대의 현재로 향하게 됩니다.
이 불균형은 세대 갈등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청년에게 돌아옵니다.
‘요즘 애들은 버릇없다’,
‘노인들 때문에 나라가 망한다’는 식의 혐오 프레임은
정치적 무관심이 만든 또 다른 분열의 덫입니다.
정치에 눈감은 사회 – 그 대가는 고스란히 청년의 몫
정치가 썩었다고 느끼는 건 당연합니다.
하지만 정치는 참여하지 않는 사람의 몫까지 결정합니다.
- 무관심한 청년들이 많은 사회는
정책에서도, 제도에서도, 언론에서도 청년을 지웁니다. - 반면,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세력은 기득권을 지키며 영향력을 강화합니다.
- 청년이 빠진 정치에서 정의는 후순위로 밀립니다.
결국, 청년이 정치에 등을 돌릴수록
그들이 살아가는 세상은 점점 더 살기 어려워집니다.
민주주의는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참여로 작동합니다.
- 투표,
- 집회,
- 토론,
- 온라인 목소리,
- 청년 정치인 지지…
이 모든 것이 세상을 바꾸는 힘입니다.
정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내 월급’, ‘내 방값’, ‘내 삶의 가능성’이 정치입니다.
청년이 침묵하면,
누군가는 그 침묵을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는 도구로 씁니다.
시작은 작아도 됩니다 – 나부터 바꾸는 정치 감수성
정치적 감수성은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 내가 사는 지역의 구의원이 누구인지 알기
- 내가 낸 세금이 어디에 쓰이는지 보기
- 잘못된 정책에 ‘좋아요’ 하나, 댓글 하나로 문제 제기하기
- 다음 선거에선 ‘내 삶에 도움이 되는 후보’를 찾기
작은 실천이 모이면
세상은 변화의 방향을 틉니다.
정치는 결국, 사람들이 관심 두는 쪽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맺으며 – 우리가 외면한 정치, 그 대가가 너무 크다
청년이 정치를 포기하면,
정치도 청년을 포기합니다.
우리는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선택당하고,
행동하지 않음으로써 통제당합니다.
정치는 청년의 관심이 필요하고,
청년의 미래는 정치 없이는 바뀔 수 없습니다.
이제는 묻지 않아야 할 때입니다.
“정치가 나와 무슨 상관이냐”는 질문이 아니라
“내가 아니면 누가 바꿀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바꾸어야 할 시간입니다.
🌀 구독자와 함께 생각 나누기
- 당신은 ‘정치에 무관심할 권리’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청년 세대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정치 실천’은 무엇일까요?
여러분의 생각이, 정치의 새로운 물결이 됩니다.
댓글로 함께 이야기 나눠주세요.
구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