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휴식과 몸맘케어/감성 경제 에세이
함께 사는 경제
몸맘케어
2025. 5. 12. 12:14
728x90
💡 감성경제 시리즈 ⑧
― 모두가 잘사는 시스템은 가능한가?
🌍 지금, 세계는 묻고 있다
“왜 이토록 열심히 일하는데,
누군가는 넘치고, 누군가는 고통받는가?”
- 세계 상위 1%가 전체 자산의 절반을 보유
- 청년, 중장년, 노인까지 ‘생존형 경제’에 내몰림
- 국가도, 개인도 빚에 허덕이며 경쟁만 반복
- 이 시스템은 과연 ‘지속 가능한 경제’일까요?
- 아니면 '사람을 갈아 넣는 기계'일까요?
🤝 감성경제가 제안하는 새로운 시선
❝ 경제는 돈의 문제가 아니라 ‘관계’의 문제다. ❞
우리가 묻는 질문이 달라져야 합니다.
기존 질문감성경제의 질문
얼마나 벌었는가? | 누구와 함께 일하고 있는가? |
수익률은 얼마나 되는가? | 삶의 질은 얼마나 나아졌는가? |
경쟁에서 이겼는가? | 공동체는 더 건강해졌는가? |
🧩 모두가 잘사는 시스템의 핵심 원칙
1. 분산과 협력
- 중앙집중식 구조 → 지역 분산형 경제
- 수직구조 → 수평적 협력 생태계
→ 서로의 ‘약한 고리’를 보완하며 성장
2. 기본소득, 사회적 안전망
- 최소한의 삶을 보장받을 수 있을 때
→ 사람들이 **‘두려움 없이 도전’**할 수 있음
3. 가치 중심 생산과 소비
- 가격보다 윤리적 가치, 생산자와의 관계 중시
→ 착한 소비, 로컬 소비, 리필 스테이션 등 확산
4. 디지털을 통한 공정한 기회 제공
- AI, 플랫폼 기술을 통해
→ 장애, 지역, 나이, 교육의 ‘격차’를 줄이는 도구로 활용
📌 세계와 한국의 실험들
-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 행복도·자존감 상승
- 대한민국: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청년창업지원
- 서울 성미산 마을: 공유부엌·공유육아로 자발적 경제공동체 형성
- 블록체인 DAO: 수익도 의사결정도 참여자 전체에 분산
🌱 감성경제가 믿는 것
“모두가 잘사는 건 이상이 아니라, 시스템의 선택이다.”
- 구조를 고치지 않고 마음만 강조하면 위선이 됩니다
- 그러나 구조를 고치기 위해선 마음이 먼저 움직여야 합니다
- 그 시작이 바로 ‘감성경제’적 사고의 확산입니다
❤️ 몸맘케어의 한마디
💬 “모두가 잘살기 위해서는,
나 하나쯤은 손해봐도 된다는 마음에서 시작됩니다.”
💬 “모두의 행복이 곧 나의 안정이 됩니다.”
💬 “경제는 이기적인 전쟁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의 기술이어야 합니다.”
구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