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화 : "먹고 사는 것만이 전부인가 — 인간 존재의 깊이를 다시 묻다"

《몸맘케어 감성문학에세이 : 뭐시 시방 중한디?》
2화 : "먹고 사는 것만이 전부인가 — 인간 존재의 깊이를 다시 묻다"
■ 프롤로그
“배가 고프면 철학도, 사랑도, 예술도 없다.”
— 인간의 오래된 속담.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역설적인 질문 앞에 섰다.
"배만 부르면 인간인가?"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존재의 의미도 해결되는가?"
■ 경제가 전부인 시대
21세기의 세계는 **‘경제만능주의’**라는 이름 아래 달리고 있다.
국가는 성장률을 외친다.
개인은 소득과 부를 좇는다.
기업은 이윤을 신의 명령처럼 따른다.
이 속도감 속에서 우리는 묻는다.
- 더 높은 집값이 내 존재의 가치를 증명하는가?
- 더 좋은 승용차가 내 삶의 품격을 말하는가?
- 통장 잔고가 내 인격의 무게인가?
■ 결핍이 아닌 포만의 빈곤
과거에는 가난이 인간을 괴롭혔다.
오늘날은 **‘포만의 빈곤’**이 우리를 괴롭힌다.
- 물질은 넘쳐나는데 마음은 메말라간다.
- 정보는 폭발하는데 생각은 얕아진다.
- 소유는 증가하는데 만족은 줄어든다.
우리는 물질로 배는 채웠지만,
영혼은 허기진 시대를 살고 있다.
■ 기술문명의 함정
AI가 주식투자를 대신해주고,
로봇이 물류를 운반해주며,
앱이 식사를 주문해주고,
플랫폼이 인간관계를 중개하는 시대.
이 모든 것은 분명 **"먹고 사는 문제 해결"**을 위한 진보였다.
그러나 그 진보는 인간을 진정으로 행복하게 만들었는가?
■ 삶의 깊이를 잃어가는 문명
우리는 더 빨리, 더 많이, 더 효율적으로 살고 있다.
그러나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은 점점 사라진다.
- 바쁜 일상 속, 가족은 대화하지 않는다.
- 수많은 친구 속, 외로움은 커져간다.
- 부의 축적 속, 허탈함은 깊어진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될수록
인간 본연의 질문은 더 절박해진다.
■ 사람이 중심인 미래의 조건
앞으로의 문명은 단순한 경제성장이 아니다.
'존재의 성숙'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 영혼이 채워지는 사회
- 공감이 흐르는 공동체
- 사랑이 숨 쉬는 관계
- 의미를 찾는 노동
먹고 사는 문제는 기본권이 되어야 하고,
그 이후에야 비로소 **'인간다움'**을 고민해야 한다.
■ 몸맘케어가 던지는 울림
"경제는 수단이다.
인생의 목적은 '사람답게 사는 것'이다."
먹고 사는 것을 넘어,
살아가는 법을 고민하는 것.
이것이 21세기 미래철학의 출발점이다.
■ 미래사회의 철학 선언
기술문명 이후, 감성문명이 온다.
- 소득이 아니라 존엄이 기준이 되는 사회.
- 경쟁이 아니라 공존이 법칙이 되는 사회.
- 속도가 아니라 깊이가 중요한 사회.
"이제는 사람이 가장 중하다."
■ 오늘을 살아가는 나에게
오늘 하루, 이렇게 자문해보자.
"나는 오늘 무엇을 먹었는가가 아니라,
나는 오늘 누구와 어떻게 살아냈는가?"
먹고 사는 문제를 넘어서서,
사람의 깊이를 채워가는 하루가 되길.
구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