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맘케어 감성경제 시리즈 3회
“복지국가의 조건: ‘잘사니즘’을 넘어서는 공동체 정신”
💬 “복지는 시혜가 아닙니다. 삶의 권리입니다.”
"잘 사는 사람이 복지의 주인공이 되고,
덜 가진 사람은 늘 보조를 받는 입장으로 남는다."
이런 구조는 **‘잘사니즘’**이라는 신조어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복지는 단순한 지원금이나 혜택이 아니라
모든 시민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을 만드는 것입니다.
복지는 불쌍한 사람을 위한 제도가 아닙니다.
당신과 나, 모두를 위한 미래 설계입니다.
⚖️ “국가는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의무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의무는 긴급 상황에서만 발휘되어선 안 됩니다.
- 퇴직 이후 30만 원대의 노령연금으로
식비와 주거비를 감당하라는 것은,
존엄한 삶을 포기하라는 말과 다르지 않습니다. - 임대료와 병원비에 허덕이는 고령층에게
‘경제 활동은 끝났다’고 말하는 건
삶을 방관하는 복지의 실패입니다.
이제 국가는
‘누가 얼마나 가졌는가’가 아니라
‘누구도 뒤처지지 않게’ 설계해야 합니다.
🧩 “신중년 복지, 맞춤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복지에도 세대별 언어가 필요합니다.
기존 복지는 노인과 저소득층에 집중돼 있지만,
**신중년(50~60대)**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 은퇴는 했지만 연금은 아직
✅ 취업은 어렵지만 자산도 부족
✅ 건강은 괜찮지만 불안정한 미래
✅ 경험은 있지만 재도전의 기회는 적음
이 세대를 위한 복지는
단순한 ‘지원’이 아니라
**‘재진입의 사다리’**가 되어야 합니다.
🔁 “복지와 생산의 선순환이 필요하다”
진짜 복지는 사람을 다시 움직이게 만드는 복지입니다.
✔️ 일하고 싶을 때 일할 수 있게
✔️ 배우고 싶을 때 배울 수 있게
✔️ 다시 시작하고 싶을 때 도전할 수 있게
그래서 **복지 시스템은 ‘회복의 인프라’**가 되어야 하며,
다음과 같은 구조가 필요합니다.
소득 없는 고령층 지원 | 생산 가능한 신중년 참여 지원 |
의료비 지원 중심 | 건강 유지 + 예방 중심 |
복지 수급자 중심 | 참여자 + 생산자 중심 |
정체된 연금 구조 | 활동형 연금 보완제도 |
이것이 바로 **‘감성경제형 복지’**입니다.
🤝 “함께 잘사는 나라가 진짜 잘사는 나라입니다”
복지의 목적은 단순히 통계적 빈곤율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질, 존엄, 연결의 깊이를 높이는 데 있습니다.
- 누구나 소외되지 않도록 연결하고
- 누구나 다시 설 수 있도록 지원하고
- 누구나 의미 있는 일을 하도록 이끌어주는 사회
이런 사회에서는
혼자가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행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몸맘케어가 말하는 감성경제는
바로 이 ‘공존의 철학’ 위에 서 있습니다.
🕊️ “몸과 마음이 지쳐 있을 때 필요한 건, 공동체입니다”
신중년에게 가장 큰 복지는
돈이 아니라 의미입니다.
‘내가 여전히 쓸모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이
가장 강력한 치유이자 복지입니다.
지금 필요한 건
현금을 나눠주는 복지가 아니라
삶의 무대에 다시 설 수 있게 해주는 복지입니다.
✅ 마무리하며: 함께 사는 법을 배우는 나라
복지는 사회적 보험입니다.
누구도 늙지 않거나, 아프지 않거나, 실직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복지는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할 공공의 약속입니다.
그리고 그 약속 위에
우리는 감성경제라는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
희망의 씨앗을 심어야 합니다.
“당신이 잘 살아야, 나도 잘 살 수 있습니다.”
몸맘케어는 그렇게 믿습니다.
구독 감사합니다...^^.
'일상의 휴식과 몸맘케어 > 감성 경제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성경제란 무엇인가: 마음을 돌보는 경제, 삶을 설계하는 소비” (2) | 2025.05.18 |
---|---|
“창업보다 창직: 1인 콘텐츠 시대의 생존법” (5) | 2025.05.18 |
“노인의 기준이 바뀌고 있다: 65세에서 70세로, 그 너머는?” (1) | 2025.05.18 |
“신중년의 무너진 일자리, 다시 일어설 길은 어디에 있는가?” (1) | 2025.05.18 |
〈부동산과 현금의 딜레마 – 콘크리트 부자들의 삶은 왜 힘겨운가?〉 (3)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