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맘케어

치유와 휴식의 공간

치유와 휴식의 공간 / 몸맘케어 자세히보기

일상의 휴식과 몸맘케어/감성 사회 에세이

권력의 유산, 그리고 사회적 치유

몸맘케어 2025. 6. 6. 12:25
728x90

몸맘케어 감성미래사회 ⑨

권력의 유산, 그리고 사회적 치유

권력이 남긴 상처는 오래간다

어떤 시대든 권력은 흔적을 남긴다.
그 흔적이 반드시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 억울하게 처형된 피해자 가족의 고통
  • 사회적 낙인으로 살아온 연좌제 후손
  • 경제적 불평등으로 이어진 세습 구조
  • 민주주의가 억눌렸던 세대의 기억

이러한 고통은 단순히 한 세대의 문제가 아니다.
세대를 넘어 대물림되며 사회적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억울함을 넘어, ‘치유’라는 새로운 질문

과거 청산의 과정에서 우리는 늘 정의를 외쳐왔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정의 실현’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제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 복권과 명예회복만으로는 사라지지 않는 상처
  • 배상금만으로 회복되지 않는 가족 간의 아픔
  • ‘진실규명’ 이후 남겨진 고통스러운 공백

진정한 사회적 치유는 정의의 복원 이후에도 이어져야 하는 긴 여정이다.

화해는 용서의 강요가 아니다

화해를 이야기할 때 종종 착각하는 부분이 있다.
피해자에게 용서를 강요하는 것이 화해가 아니라는 점이다.

  • 용서는 피해자의 선택이어야 한다.
  • 가해자는 진심어린 반성과 책임을 전제해야 한다.
  • 사회 전체가 진실을 공유하고 공감할 때, 치유는 시작된다.

이러한 균형 잡힌 화해가 없다면,
사회적 통합은 표면적 합의에 불과하게 된다.

대한민국 치유사회의 첫 걸음들

한국사회도 이미 조심스럽게 치유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 진실·화해위원회의 과거사 재조명
  • 4.3 사건 특별법 개정과 배·보상
  • 민주화운동 관련자의 명예회복 및 지원법

이러한 제도적 접근은 중요한 시작이다.
그러나 법률적 조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사회적 공감과 집단적 성찰이 병행되어야 한다.

감성미래학이 제안하는 ‘사회적 치유의 원칙’

몸맘케어 감성미래학은 이렇게 제안합니다:

👉 과거를 숨기지 말고, 모두가 사실을 공유하라
👉 피해자 중심의 회복적 정의를 실현하라
👉 가해자의 진정한 반성과 책임을 제도화하라
👉 세대를 넘어 집단적 기억의 치유 문화를 키워라

진정한 치유는 단순한 과거사 정리가 아니라

공존을 위한 공동의 성장 과정이다.

몸맘케어는 대한민국이
상처를 직면하되, 고통에 머무르지 않고, 성숙으로 나아가는 사회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이것이 감성미래학이 추구하는 치유의 힘입니다.

구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