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정치 에세이 시리즈 6화
– 전력의 풍요가 삶의 풍요가 되려면
밤늦은 골목길, 전봇대 위 가로등 하나가 따뜻한 빛을 내고 있었다.
그 불빛 아래, 작은 식당의 불이 꺼지고,
노인의 집 창가에서 마지막 전등이 꺼졌다.
전기는 그렇게, 조용히 우리의 하루를 마무리 짓는다.
하지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 전기의 풍요는 과연 우리 삶을 더 따뜻하게 만들고 있을까?"
⚡ 많아진 전기, 높아진 스트레스?
우리는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24시간 켜진 가전, 스마트폰, 에어컨, 전기차 충전기까지.
삶은 ‘편리’해졌지만, 과연 ‘행복’해졌을까?
더 밝아진 도시,
더 자극적인 광고판,
끊임없이 울리는 알림 속에서
우리는 오히려 더 불안해지고,
더 외로워지고 있는 건 아닐까?
전력의 풍요는 분명히 중요하다.
하지만 그 풍요가 우리의 삶을
얼마나 깊고 따뜻하게 채우는가는
또 다른 이야기다.
🌱 전기의 질이란 무엇인가?
에너지에도 '질(質)'이 있다.
단순히 ‘얼마나 많이 쓰느냐’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하다.
- 불필요하게 새는 전기
- 자연을 해치는 생산 방식
- 지역과 계층에 따라 다른 에너지 접근성
- 자본만이 통제할 수 있는 전력 구조
이런 것들이 반복된다면,
우리는 풍요 속 빈곤에 갇히게 된다.
진짜 에너지 복지란,
모두에게 공평하고,
지속 가능하며,
삶의 질을 높이는 방식으로 전기가 사용되는 것이다.
🏠 삶과 연결된 에너지 복지
전기 요금이 무서워 히터를 켜지 못하는 노인,
에너지 빈곤에 시달리는 한부모 가정,
도심에서 멀수록 비싸지는 전기.
이것이 지금 대한민국의 에너지 불평등이다.
전력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문제다.
복지의 문제이고, 정의의 문제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단지 공급과 수요의 문제가 아니다.
그 전기가 누구의 몸을 따뜻하게 하고,
누구의 삶을 안정시키는지를
정치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 사람을 위한 전기, 함께 만드는 풍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선
전기를 ‘사람을 위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불필요한 낭비는 줄이고,
취약계층에게는 더 다정하게 다가가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지구를 보살펴야 한다.
우리가 진짜 바라는 풍요는
빛이 많아지는 것이 아니라
그 빛이 따뜻한 손길이 되는 사회 아닐까?
이제 우리는
전기의 양이 아니라,
전기가 닿는 마음의 온도를 물어야 할 때다.
✅ 함께 생각해요
- 전기 사용이 늘어난 삶, 정말 편안하고 만족스러우신가요?
- 전기 요금은 누구에게 더 부담이 되고 있을까요?
- 에너지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 어떤 게 있을까요?
구독 감사합니다...^^.
'일상의 휴식과 몸맘케어 > 감성 정치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요금과 시민의 권리 (2) | 2025.05.02 |
---|---|
지구를 살리는 전기 (1) | 2025.05.02 |
미래를 위한 에너지 민주주의 (1) | 2025.05.02 |
풍력과 태양광, 진짜 대안이 될 수 있을까 (1) | 2025.05.02 |
원자력은 누구의 선택인가 (1)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