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는 왜 복지를 두려워하는가
몸맘케어 감성 정치 에세이 시리즈
“복지는 퍼주기다.”
“복지하려면 세금을 올려야 하잖아요.”
“국가는 개인 책임을 대신할 수 없다.”
복지를 말할 때면 반복되는 말들입니다.
이 말들 속에는
복지를 '필요한 사람만 받는 시혜'로 보는 시선,
복지를 '국가 재정의 부담'으로만 여기는 태도가 숨어 있습니다.
그러나 진짜 물어야 할 질문은 이것입니다.
복지는 왜 항상 ‘불편한 논쟁’이 되는가?
국가는 왜 복지를 경계하고, 국민은 왜 복지를 의심하게 되었는가?
‘복지’는 혜택이 아니라 권리다
복지는 단지 누군가를 도와주는 일이 아닙니다.
국민이 인간다운 삶을 누릴 권리를 국가가 보장하는 일입니다.
- 병원에 가지 못해 생명을 잃는 사람이 없도록,
- 아픈 아이가 학비 걱정 없이 자라도록,
- 나이 들었다는 이유로 버려지지 않도록,
- 실직해도 하루아침에 거리로 내몰리지 않도록.
복지는 ‘기회 평등’이 아니라
**'출발선의 복원'**입니다.
그 누구도 절망에서 출발하지 않도록
국가가 책임지는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망입니다.
복지를 무서워하는 정치 – 왜?
한국 사회에서 복지 논쟁은 유독 첨예합니다.
왜일까요?
- 낡은 이념 프레임 – 복지 = 좌파
“복지는 사회주의다”, “자립심을 해친다”는 말은
냉전 시대의 그림자가 여전히 정치 담론에 남아 있음을 보여줍니다. - 세금 논쟁 프레임 – 증세에 대한 공포
복지 확대는 세금 증가를 수반합니다.
하지만 한국은 GDP 대비 복지 지출이
OECD 평균에도 못 미치는 저복지 국가입니다.
‘세금은 내기 싫고, 복지는 받고 싶은’
이율배반적 태도가 정치적 회피를 불러옵니다. - 복지는 ‘투자’가 아닌 ‘지출’이라는 인식
기업에 주는 세금 감면은 ‘경제 활성화’로 포장되지만,
아픈 아이의 치료비 지원은 ‘퍼주기’로 몰립니다.
복지가 장기적 투자라는 관점은 정작 부재합니다.
복지에 대한 **국가의 ‘의지 부족’**은 곧 책임 회피다
한국은 ‘작은 정부’ 담론이 강한 나라입니다.
국가는 늘 ‘효율’을 말하지만,
그 효율은 고통의 사유화, 돌봄의 사유화로 귀결됩니다.
- 아픈 부모는 가족이 돌보라고 하고,
- 학비는 대출로 감당하라 하고,
- 출산율은 가정의 몫이라며 국가의 책임을 회피합니다.
국가는 존재하면서도, 실질적 책임을 지지 않는 구조
그것이 복지를 외면하는 정치의 본질입니다.
복지는 나와 상관없는 일이 아니다
복지를 반대하는 사람 중 대부분은
정작 복지의 수혜자입니다.
- 국민 건강보험,
- 무상급식,
- 아동수당,
- 기초연금,
- 출산 장려금,
- 코로나 지원금…
이 모든 것이 복지입니다.
우리는 이미 복지 속에 살아가고 있으면서도
‘복지 = 남에게 주는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복지를 타인의 몫으로 밀어내는 순간,
그 복지는 우리의 삶에서조차 멀어집니다.
진짜 복지는 모두를 위한 평등한 기회다
복지는 단지 ‘돈을 나눠주는 정책’이 아닙니다.
기회의 평등, 삶의 존엄, 사회적 안전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국가의 책임입니다.
- 복지국가는 게으름을 조장하는 게 아니라
노력할 수 있는 조건을 회복시켜주는 체계입니다. - 복지의 빈틈은 곧 불평등의 구조적 영속으로 이어집니다.
- 복지는 가난한 사람만이 아니라, 모두의 미래를 지키는 장치입니다.
복지를 두려워할 게 아니라, 복지 없는 미래를 두려워하자
복지는 돈이 드는 일입니다.
하지만 복지가 없다면,
- 빈곤은 세습되고,
- 질병은 계급을 가르고,
- 교육은 특권이 되고,
- 국민의 삶은 불안정한 도박이 됩니다.
국가가 복지를 두려워할 이유는 없습니다.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가 바로 복지이기 때문입니다.
맺으며 – ‘국가의 품’이 좁아지지 않도록
정의로운 국가는
힘없는 사람에게 가장 먼저 손을 내밀 줄 아는 나라입니다.
복지를 외면하는 순간, 국가는
힘 있는 사람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게 됩니다.
우리는 묻습니다.
“정의는 누구의 편인가.”
그 대답은,
**‘국가는 누구를 먼저 안고 있는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구독자와 함께 생각 나누기
- 복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 세금과 복지의 균형,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요?
- 진정한 복지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우리가 바꿔야 할 인식은 무엇일까요?
댓글로 여러분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작은 목소리들이 모여 사회의 방향을 바꿉니다.
구독 감사합니다...^^.
'일상의 휴식과 몸맘케어 > 감성 정치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 권력의 도구 혹은 약자의 방패? (1) | 2025.05.09 |
---|---|
기억되지 않는 사람들 – 빈곤의 얼굴 (3) | 2025.05.09 |
청년 세대와 정치적 무관심의 대가 (1) | 2025.05.09 |
플랫폼 노동과 새로운 착취 – 자유의 탈을 쓴 종속 (1) | 2025.05.09 |
기술독점과 시민의 권리 – 플랫폼 제국의 그늘 아래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