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맘케어 생노병사 에세이 시리즈 ⑧
“몸에 생긴 병은,
마음에서 시작해,
삶의 방식으로 자란다.”
🧱 1층 – 신체의 층: 질병의 물리적 실체
몸이 보내는 신호는 분명합니다.
열이 나고, 통증이 있고, 염증 수치가 오릅니다.
✅ 의학적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 약물·시술·수술 등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장 눈에 잘 보이는 '병의 1층'입니다.
예를 들어,
- 혈압이 높다
- 위염이 있다
- 관절이 붓고 아프다
하지만 이 신체적 증상만으로 병을 다 설명할 수 있을까요?
눈에 보이지 않는 감정의 영향을 무시한 채,
단지 증상만 없애는 방식으로는 근본적인 치유에 한계가 있습니다.
💔 2층 – 감정의 층: 병의 정서적 기원
많은 심리치료사들은 말합니다.
“병은 억눌린 감정이 몸으로 나온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 장기적인 슬픔은 폐기능 저하로
- 억누른 분노는 간 기능 이상으로
- 지속된 불안은 소화장애나 불면으로 나타납니다.
감정은 증발하지 않습니다.
표현되지 않은 감정은
몸에 저장되어 결국 병이라는 형식으로 발현됩니다.
👀 특히, 어린 시절부터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거나,
항상 참아야 했던 사람일수록 감정의 병적 저장이 많습니다.
🌍 3층 – 삶의 이야기 층: 병이 자라는 토양
병은 단지 몸에 생긴 문제가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 방식 전체가 반영된 결과일 수 있습니다.
✔️ 지나치게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
✔️ 늘 ‘다른 사람 눈치’를 먼저 보는 태도
✔️ 자기 감정을 외면한 채 ‘역할 수행’에만 몰두하는 삶
이런 삶의 ‘패턴’은,
몸에 스트레스를 축적시켜 병의 토양이 됩니다.
🌱 병은 단지 신체 기관이 고장 난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삶 전체가 보내는 구조적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실제 상담 예시로 보는 3층 구조
🧑 50대 남성 C씨 – 만성 어깨통증
- 신체(1층): MRI상 회전근개 손상
- 감정(2층): 가장 역할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
감정을 드러내지 못한 채 참아온 삶 - 삶의 이야기(3층):
“내가 버텨야 우리 가족이 산다”는 자기 희생의 삶
→ 단순 물리치료만으로는 나아지지 않았지만,
자기 감정을 다룰 때부터 통증이 점차 줄어들었음.
🧘 병을 치유하는 통합적 접근
“내가 어디 아픈지”만 보는 것이 아니라,
“왜 지금, 내 몸이 이런 신호를 보내는지”를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통합적 접근법:
1층 (신체) | 어떤 증상이 있나요? |
2층 (감정) | 언제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나요? 어떤 감정을 가장 오래 참았나요? |
3층 (삶) | 내가 지금 살고 있는 방식은 나를 돌보는 삶인가요? |
🔁 병이 전하는 진짜 질문
병은 우리에게 이렇게 묻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 “당신 삶의 균형은 지금 어떤가요?”
- “당신이 진짜 원하는 삶은 어떤 모습인가요?”
- “당신은 스스로를 어떻게 대해왔나요?”
몸은 단지 고장이 아니라 신호이며,
그 신호 뒤에는 해석하고 변화시켜야 할 삶의 이야기가 숨어 있습니다.
🌼 치유의 첫 걸음은 '자기 이해'로부터
병을 단지 고쳐야 할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들어야 할 이야기,
돌아봐야 할 신호,
다시 살아갈 방향을 알려주는 이정표로 바라볼 수 있다면
진정한 치유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 오늘의 소통질문
📍여러분은 어떤 방식으로 아픔을 경험하고 있나요?
그 증상 뒤에 어떤 감정, 어떤 삶의 이야기들이 숨어 있진 않나요?
👇 댓글로 나누어 주세요.
몸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함께 듣고, 함께 풀어가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구독 감사합니다...^^.
'오늘의 명상 > 생노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의 회복탄력성 – 아픔을 딛고 다시 일어서는 힘 (3) | 2025.05.15 |
---|---|
몸이 말하는 언어 – 아픈 부위별 감정의 신호 (1) | 2025.05.15 |
나는 왜 병을 선택했는가 – 무의식의 병적 결정 (1) | 2025.05.15 |
내 몸은 나보다 먼저 안다 – 직감, 예감, 촉의 생물학 (1) | 2025.05.15 |
죽음을 거부한 심장 – 임사체험과 생존 본능 (1) | 2025.05.15 |